글씨 관련 태그
아래 태그는 body내 위치합니다
태그 예시
<!--ul 사용 방법-->
<ul>
<li>순서 없는 리스트1</li>
<li>순서 없는 리스트2</li>
<li>순서 없는 리스트3</li>
</ul>
<!--ol 사용 방법-->
<ol type="a">
<li value="2">순서 있는 리스트2</li>
<li value="1">순서 있는 리스트1</li>
<li value="3">순서 있는 리스트3</li>
</ol>
<!--dl dd dt 사용 방법-->
<dl>
<dt>용어 정의</dt>
<dd>용어 의미</dd>
</dl>
<!--텍스트 태그-->
<p>
엔터가
반영되지 않아<br/>
br태그를 사용
</p>
<hr/>
<pre>
엔터가
그대로 반영 됨
</pre>
<blockquote> 인용문 </blockquote>
<a download href="./image/download">내부 또는 외부 연결</a>
<abbr title="약어 설명">약어</abbr>
<b>텍스트 강조 - 두께</b>
<mark>텍스트 강조 - 하이라이팅</mark>
<em>텍스트 강조 - 이탤릭</em>
<strong>텍스트 의미 강조 - 두께</strong>
<i>텍스트 구분 - 이탤릭</i>
<dfn>용어 정의</dfn>
<cite>저작물의 출처 - 이탤릭</cite>
<q>짧은 인용문</q>
<u>밑줄</u>
<code>컴퓨터 코드</code>
<kbd>키보드 입력</kbd>
<sup>윗 첨자</sup>
<sub>아래 첨자</sub>
<time>10:00</time>
<datetime>21-05-11</datetime>
<span>텍스트 영역 설정</span>
<!--삭제 전 / 수정 전-->
<del datetime="21-05-11" cite="./textDelInfo">텍스트 삭제 전, 수정 전</del>
<!--추가 후 / 수정 수-->
<ins datetime="21-05-11" cite="./textAddInfo">텍스트 추가 후, 수정 후</ins>
태그 설명
구분 | 태그 | 속성 | 의미 | 값 |
리스트 | ul | 순서가 없는 리스트 | ||
ol | 순서가 있는 리스트 | |||
start | 항목 번호 시작 값 | 숫자 | ||
type | 항목 번호 유형 | a, A, i, I, 1 | ||
reversed | 순서를 반대로 바꿔줌 | |||
li | ul 또는 ol 하위 리스트. 단독 사용 불가 | |||
value | 항목 순서 설정 | 숫자 | ||
용어 정의 | dl | Description List의 약자. 용어(dt)와 정의(dd)를 묶어줌. 스타일링이 힘들어서 잘 사용되지 않음 | ||
dd | Descriptoin Detail의 약자. 용어의 의미를 정의 | |||
dt | Description Term의 약자. 용어를 정의 | |||
텍스트 | p | Paragraph의 약자. 문단 설정 | ||
br/ | 줄바꿈 | |||
hr/ | Horizontal Rule의 약자. 단락과 단락 사이의 주제 구분을 분리 | |||
pre | pre 태그 안의 텍스트는 기록 된대로 정확하게 표현 됨. 띄어쓰기, 엔터 등이 그대로 반영 됨. monospace 글꼴 적용 | |||
blockquote | block Quotation의 약자. 인용문 설정 | |||
a | Anchor의 약자. 내부 또는 외부의 URL을 연결 가능 | |||
download | a 태그가 다운로드 용임을 의미 | boolean | ||
href | 경로 입력 | URL | ||
rel | 현재 문서와 연결한 아이템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설명 | Link type | ||
target | 새창에서 열릴지 여부를 정의 | _self, _blank | ||
type | mime type | mime type 종류 | ||
abbr | Abbreviation의 약자. 약어를 abbr 태그로 감싼 뒤, title 속성에 원문을 넣으면 툴팁으로 노출 | |||
title | abbr 태그로 감싸진 약어의 원문을 툴팁으로 표시 | 텍스트 | ||
b | Bring Attention의 약자. 독자의 주의를 끌기 위한 용도로 사용합니다. 그 외의 텍스트를 굵은 글씨체로 강조하는 것 말고는 별다른 역할이 없음 | |||
mark | 하이라이팅 할 때 사용. 배경색이 노란색으로 표시 됨 | |||
em | Emphasis의 약자. 단순한 의미 강조. 이탤릭체로 표시 | |||
strong | 중요 컨텐츠 표시. 굵게 표시 됨. | |||
i | 주위와 구분해야 하는 부분. 이탤릭체로 표시 | |||
dfn | Definition의 약자. 용어를 정의할 때 사용 | |||
cite | 저작물의 출처를 표기할 때 사용. 이탤릭체로 표시 | |||
q | Inline Quotation의 약자. 짦은 인용문 표시 | |||
u | Underline의 약자. 밑줄 효과 | |||
Code | 컴퓨터 코드 표시 | |||
kbd | Keyboard Input의 약자. 키보드 입력, 음성 입력 등 임의의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의 입력 표시 | |||
sup | Superscripted의 약자. text윗 첨자 표시 | |||
sub | Subscript text의 약자. 아래 첨자 표시 | |||
time | 날짜.시간 표시 | |||
datetime | 요소의 시간 또는 날짜 값 | date | ||
span | 텍스트 영역 설정. 의미는 없으며, 효과를 달리 줄 때 영역 설정 | |||
변경 표시 | del | 삭제/수정 전 텍스트 표시. 취소선 표시 | ||
cite | 변경점을 설명하는 리소스의 URI | URI | ||
datetime | 변경된 날짜 | Date | ||
ins | 추가/수정 후 텍스트 표시. | |||
cite | 변경점을 설명하는 리소스의 URI | URI | ||
datetime | 변경된 날짜 | Date |
#HTML 태그 참고서
MDN Web Docs
Hacks Blog Read more at hacks.mozilla.org We successfully deployed ThreadSanitizer in the Firefox project to eliminate data races in our remaining C/C++ components. In the process, we found several impactful bugs and can safely say that data races are ofte
developer.mozilla.org
'달밤에 코딩하기 > HTML CSS 공부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10 - HTML 태그 - 내장 컨텐츠/스크립트 (0) | 2021.04.18 |
---|---|
#9 - HTML 태그 - 이미지/동영상/오디오 (0) | 2021.04.18 |
#7 - HTML 태그 - 컨텐츠 구분 (0) | 2021.04.08 |
#6 - HTML 태그 -head (0) | 2021.04.06 |
#5 - HTML 작성 준비 (0) | 2021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