단위
단위 적용 예시
/*-------------px %-------------*/
.class{
width : 50px;
height : 50%;
}
/*-------------em-------------*/
/*--자식 요소의 가로값은 절반이 됨--*/
.parent{
width : 60em;
font-size : 10px;
}
.child{
width : 30em;
}
/*-------------rem-------------*/
.html{
width : 60em;
font-size : 10px;
}
.child{
width : 30em;
}
/*-------------vw vh-------------*/
.class{
width : 50vw;
height : 5vh;
}
/*-------------vmin vmax-------------*/
.class{
width : 50vmin;
height : 5vmax;
}
단위 설명
단위 | 의미 |
px | 크기를 지정하는 값. 픽셀 단위. 고정 값. |
% | 크기를 지정하는 값. 부모 요소 대비 n%를 적용. |
em | 자기 자신의 폰트 사이즈에 영향을 받음. 가변적이며 상속되는 특징이 있음. 상속 요소를 모두 이해해야하기 때문에 다루기 어려움 |
rem | html에 지정된 폰트 사이즈에만 영향을 받음. |
vw | 출력되는 전체 가로 사이즈 % |
vh | 출력되는 전체 세로 사이즈 % |
vmin | 출력되는 화면에서 가로/세로 중 짧은 너비를 기준으로 한 % |
vmax | 출력되는 화면에서 가로/세로 중 넓은 너비를 기준으로 한 % |
속성 기본
상우하좌 입력 방법
생략 방법
속성을 입력할 경우 상하좌우 입력을 한번에 적용할 수 있으며, 몇개를 입력하는지에 따라 아래와 margin과 같이 적용된다.
상우하좌는 상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떠올리면 쉽다.
/* 상 우 하 좌 */
.class{
margin : 10 20 30 40;
}
/* 상 좌우 하 */
.class{
margin : 10 20 30;
}
/* 상하 좌우 */
.class{
margin : 10 20;
}
/* 상하좌우 */
.class{
margin : 10;
}
별도 입력 방법
"속성+방향"으로 특정 방향의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.
/* 상 */
.class{
margin-top : 10;
}
/* 하 */
.class{
margin-bottom : 10;
}
/* 좌 */
.class{
margin-left : 10;
}
/* 우 */
.class{
margin-right : 10;
}
기본 속성
기본 속성 예시
/*--------가로 세로--------*/
.class{
width : 100%;
min-width : 100px;
max-width : 500px;
height : 100%;
min-width : 100px;
max-height : 500px;
}
/*--------마진--------*/
.class{ margin : 10px 20px 30px 40px; }
.class{
margin-top : 10px;
margin-right : 20px;
margin-bottom : 30px;
margin-left : 40px;
}
/*--------패딩--------*/
.class{ padding : 10px 20px 30px 40px; }
.class{
padding-top : 10px;
padding-right : 20px;
padding-bottom : 30px;
padding-left : 40px;
}
/*--------선--------*/
.class{ border : 1px solid black; }
.class{
border-width : 1px;
border-style : solid;
border-color : black;
}
.class{
border-top-width : 1px;
border-top-style : solid;
border-top-color : black;
}
/*--------그 외--------*/
.class{
box-sizing : boder-box;
display : block;
overflow : hidden;
opacity :1;
}
기본 속성 설명
속성 | 개별 속성 | 의미 | 값 |
width | 가로 값 | auto, 숫자+단위, 0 | |
max-width | 최대 가로 값 | ||
min-width | 최소 가로 값 | ||
height | 세로 값 | ||
max-height | 최대 세로 값 | ||
min-width | 최소 세로 값 | ||
margin | - | 외부 여백, %사용 시 부모 요소의 가로사이즈 대비 % 적용. 마진의 중복 형제의 위 여백 + 형제의 아래 여백일 때 중복 부모의 위 여백 + 자식의 위 여백일 때 중복 부모의 아래 여백 + 자식의 아래 여백일 때 중복 |
auto, 숫자+단위, 0 |
margin-방향 | top / right / left / bootom 상우하좌의 개별 속성으로 사용 가능 |
||
padding | - | 내부 여백. 너비 값의 증가 패딩을 사용하면 요소의 width+padding가 전체 가로값이 된다. 이를 방지하려면 [ box-sizing : border-box; ]속성을 추가해야 한다. |
auto, 숫자+단위, 0 |
padding-방향 | top / right / left / bootom 상우하좌의 개별 속성으로 사용 가능 |
||
border | - | 요소의 라인을 설정. 선 입력 생략 border : 1 solid black; -> 두께 종류 색상 너비 값의 증가 보더를 사용하면 요소의 width+border-width가 전체 가로값이 된다. 이를 방지하려면 [ box-sizing : border-box; ]속성을 추가해야 한다. |
1. 두께 숫자+단위 2. 종류 none, hidden(table에서 사용), solid, dotted, dashed, double, groove,, ridge, inset, outset 3. 색상 컬러 이름, 컬러 코드, transparent |
border-방향 | ttop / right / left / bootom 상우하좌의 개별 속성으로 사용 가능 |
||
border-width | 선의 두께 | ||
border-style | 선의 종류 | ||
border-color | 선의 색상 | ||
border-방향-속성 | border는 방향과 속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. 속성부분에는 width / style / color가 들어갈 수 있다. 태그 예시 border-top-style : solid; |
||
box-sizing | 요소의 크기 기준을 지정. 1. content-box : width / height 기준 2. boder-box : 패딩+테두리를 포함하는 기준 |
content-box boder-box |
|
display | 요소의 박스 타입을 설정. 1. inline-block은 inline에 바탕을 두지만 가로세로 값을 가질 수 있는 속성임 대표적으로는 input 태그가 있음 2. none을 설정하면 화면에서 요소가 없어진다. |
block, inline, inline-block, flex, table, table-cell, none | |
overflow | 요소의 크기 밖으로 내용이 넘쳤을 때 상태 설정 1. scroll은 내용이 넘치지 않아도 스크롤이 생성 2. 넘치치 않을 때 스크롤을 표시하고 싶지 않으면 auto를 사용한다. |
visible, hidden, scroll, auto | |
opacity | 투명도 설정. %를 사용하거나 "원하는 투명도/100"를 계산하여 숫자만 입력함. "0.5"일 경우 0을 생략하여 사용할 수 있음 | 투명도/100인 숫자 또는투명도%예시1 = 100% .5 = 50% 0 = 0% |
'달밤에 코딩하기 > HTML CSS 공부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19 - CSS 기초 - 정렬 (0) | 2021.05.13 |
---|---|
#18 - CSS 기초 - 폰트 (0) | 2021.05.13 |
#16 - CSS 기초 - 상속 / 우선순위 / Reset CSS (0) | 2021.05.13 |
#15 - CSS 기초 - 선택자 (0) | 2021.05.13 |
#14 - CSS 기초 - 불러오기 (0) | 2021.05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