달밤에 기획하기/UX UI 다시보기
#7 - 실무 개발 Process와 직군 별 협업
Rosa.Kim
2021. 5. 24. 18:08
실무 개발 Process
전체 Process
크게 실무 개발 Process는 총 5단계로 이루어지며, 이 중 UX/UI 디자이너는 기획~디자인을 담당하게 된다. 또한 각 단계 별 참여 직군과 업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인 흐름과 담당 업무를 정확하게 인지해야 한다.
각 단계별 업무
기획 | 설계 | 디자인 | 개발 | 출시 |
문제 정의 목표 수립 현황 분석 사용자 조사 전략 수집 |
IA Interface 기능 설계 |
Wireframe UI 디자인 Interaction 디자인 Prototyping 디자인 시스템 설계 |
개발 테스트 |
가설 검증 사용자 테스트 데이터 분석 개선 |
직군 별 협업
실무 개발 단계에서 UX 디자이너는 여러 직군과의 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. 때문에 직군의 업무를 이해하고, 협업 시 역할을 정확하게 인지해야 한다.
직군별 역할
직군 명 | 역할 |
PO - Product Owner PM - Product Manager |
프로젝트 총 책임자 프로젝트의 당위성에 대해 이해 관계자와 협의 프로젝트의 Goal, KPI, Scope를 정함 |
UX Researcher | 사용자 리서치 담당 프로젝트 초기에 필요한 사용자의 Needs, 행동 등을 정성적 정략적 리서치를 통해 분석 |
UX Designer UI Designer Interaction Designer |
UX 디자이너의 경우 직접 리서치 하는 경우도 있음 Wireframe 작성 Storyboard, 기획 문서 작성 디자인 가이드 Prototype 제작 회사마다 직무의 정의 및 역할이 매우 다름 |
Content Strategist Copy Write & UX Write |
서비스를 구성하는 컨텐츠 제작 톤앤 매너에 맞는 문구 작성 |
IOS & Android Developer | IOS : Swift Adroid : Kotlin, Java를 이용해 앱 개발 |
Publisher & Front-end Developer |
Web 서비스의 User side에 보여지는 부분을 개발 HTML, CSS만 하는 직군을 퍼블리셔라고 부르기도 함 |
Back-end Developer | 서비스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개발, User side에 필요한 정보를 보여주거나 외부 서비스와 연동을 담당하기도 함 서버 관리자/ DB 관리자 / 백엔드 개발자 등으로 분류 |
QA - Quality Assurance | 서비스가 일정 이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테스트 및 검수 작업 ㅅ\수행 배포 전 최종 컨펌을 담당 |
Data Scientist |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가공하고 처리하여 관리 |
Data Engineer |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서비스 또는 비지니스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되는 Insight 도출 |
Data Analysy | 알고리즘, 머신러닝, 딥 러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활용 및 분석 |
직군별 협업
직군 | 업무 |
UX 디자이너와 제품 기획자의 협업 |
User Research 제품에 대한 기능 제안 Heuristic Evalution (경험적 지식) 타사 기능 분석 기존 제품 UT 기능에 대한 USP 기능 이름 정의 |
UX 디자이너와 UX 디자이너의 협업 |
시나리오 (Wireframe, Storyboard..) 개발 User Research Usability Test Idea Workshop 진행 |
UX 디자이너와 GUI 디자이너의 협업 |
기능에 대한 설명 시나리오 문서를 통한 Wireframe 제작 대표화면 제작 Icon 디자인에 대한 논의 일관성에 대한 논의 |
UX 디자이너와 개발자의 협업 |
기능에 대한 설명 프로토타입 후 설명 개발 기능성 논의 수정 보완 개발 후 Usability 이슈 해결 QA Case 만들기 |
프로젝트 방법론
위의 전체 프로세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론이 존재한다. 그중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자
워터풀 | 애자일 | |
예시 | ![]() |
![]() |
이미지 출처 |
https://slidehunter.com | https://slidehunter.com |
설명 | 실무 개발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워터풀 모델이라고 한다. 회사에서 아직 많이 사용하는 모델이며, 앞단계가 완전히 끝나야 다음 단계가 시작하는 형태이다. | Agile은 특정 형태 없이 기민하고 날렵하게 다양한 모든 방법을 말한다. 초기 제품 제작 보다는 지속적인 향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. |
장점 | 프로세스가 길고 순서가 정해져 있어 따르기 쉽고 안정적임 프로젝트 전, 요구사항/예산/자원이 확정되어 목표/결과/리스크의 통제가 쉽다. |
개발 과정이 빠르고 유연함 짧은 과정을 반복해, 빠르게 제품 결함 발견/수정이 가능하다. |
단점 | 순서대로 개발하기 때문에 개발 속도가 느리며 유연성이 떨어진다. 테스팅 단계에서 문제가 발견된다. 대부분의 사항이 프로젝트 전에 결졍되어 변경이 자유롭지 못하다. |
변경사항을 자주 검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. 팀원이 자립성이 없거나, 잘 조직되지 않은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|
적합한 조직 |
팀의 경험의 적은 경우 변경/리스크/기간에 덜 민감하거나 요구사항이 간단한 프로젝트 |
빠른 피드백이 필요한, 소프트웨어 중심의 개발 분야 팀 큰 회사에서 프로세스를 간소화 하여 신속하게 대응하고자 할 때 |